내 생애의 첫 수필 글이음 교실 (2회차) 둘째 날

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   2019.5.29 14:00-16:00

 

박찬우 pm께서 오늘 수업 후 다과회가 있음을 칠판에 공지해 두었다.

 

 철학가는 글을 어떻게 쓸까? 하시면서 운을 때신다.

지금 강의할 큰 누나의 작가 최진석교수님을 지칭하는 말이다.

장명도 마을회관...” 으로 시작하는 글을 읽으시면서 장명도란 사람 이름이 아닌 섬 이름이고

그곳에서 저자 아버님이 초등학교 선생을 하셨다... 라는 설명을 하시는데 마치 옛날 중학교

국어시간에 앉아 있는 느낌으로 정감이 많이 간다.

 

과거 소환

누나가 두 분 계셨는데 큰누나가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 돌아가셨다. 어릴 적 격었던 아팠던

죽음에 대한 회상을 써 놓은 글이다.

유년기에 격었던 가정사의 경험들이 인간사 전체에 가장 크게 작용된다는 프로이드 사상처럼

이 글을 통해서 우리도 어릴 적 이야기를 어떻게 풀어나갈 수 있는지 한번쯤 생각하는 계기가

되고 나도 한 번 써 봐야지라는 용기를 갖기를 바란다는 강사님의 말씀도 계셨다.

 

 

대여섯 살 아기에게도 알 것은 안다

글속에 나도 그 나이 때에 인간의 존재 의미기 다층적으로 중첩된 미묘한 상황에서도 미학적인

높이에서 행위를 결정할 줄 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에서 아주 어려운 표현이지만 그 나이

때라도 알 것은 알고 있다는 표현이다.

강사님도 어릴 적 결정적 순간을 기억을 갖고 계산다고 말씀하시고 죽을 때까지 말 못한다고도

말씀하시자 교실은 웃음바다가 된다. 그것은 모두가 그런 하나쯤은 갖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

것이다.

 

외삼촌의 출현

 - 당연히 있어야할 아버지 기억은 없고 당연하지도 않는 외삼촌에 대한 기억의 생경함.

 - 당연하지도 않는 것이 기억에는 야무지게 박힘.

 

 

어린애처럼 행동해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.

 - 이것은 가장 중요한 이글의 핵심 워드이다.

 - 병풍으로 내가 있는 아랫목과 큰누나가 누워있는 윗목의 두 세계가 존재

 - 병풍으로 격리된 다른 세계를 잠시 만들고 누나는 죽어서 연습생이 됨.

 - 나는 어떤 것도 묻지도 않았고 물어서도 안 된다는 것으로 알고 있다.

 - 누나의 죽음에 대한 슬픔은 어른들만이 감내해야하는 것으로 모르는 척 함.

 

 

시간의 흐름이 헷갈림

 - 첫째 날 밤은 누나의 죽음

 - 둘째 날 짐승과 같은 어머니의 울음소리를 들었던 밤이 지나고 아침이 오자..’

 - 여기서 아침은 며칠째 날인가?

 - 강사님을 비롯하여 수강생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다.

 

수식어는 가까이에 있어야 함.

사람들이 많이 찾아왔습니다. 많아봐야 애기주먹만 한 동네에서 얼마나 많겠습니까“보다

"애기주먹만 한 동네에서 많아봐야 얼마나 많겠습니까" 가 맞는 표현이라고 말씀하신다.

 

 

근본적으로 달라짐

 - 병풍으로 갈라진 두 세계의 차이는 사실 달라진 것은 없음

 - 단지 두세계가 달라진 것은 온도의 차이로 분명히 기억.

 

 

상견례 읽고 해설

 - 수강생 조영륜님의 상견례”를 읽고 해설해주시는 시간이었습니다

 - 독자랑 무엇을 공유하고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는 것이 중요.

 - 자기 자랑을 표현하면 곤란하고 오히려 못난 맛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

 - 내용이 다소 사실적인 표현이라는 평가를 남겨두신다.

 

 

다과회를 열다

수업마치고 다과회를 하면서 각자의 개인 소개를 하면서 서로를 알아 가는 중요한

시간을 도심권 센터 황현정 팀장님께서 마련해 주셨다.

모두 모두 수고 많으셨습니다.^^

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학습지원단 황 학 목